특히 한국어교육전공의 경우는 다음과 같다.
구분 | 선택과목 | 비고 |
---|---|---|
국어학전공 | 국어학개론(2학년1학기개설), 한국어어문규범(2학년2학기개설), 한국어문법론(2학년2학기개설), 한국어음운론(3학년1학기개설), 한국어의미론(3학년2학기개설), 한국어의역사(4학년1학기개설) | |
국문학전공 | 한국문학의이해(1학년1학기개설), 한국문학개론(1학년2학기개설), 고전소설론(2학년2학기개설), 고전시가론(3학년1학기개설), 현대소설론(3학년1학기개설), 국문학사(3학년2학기개설), 현대문학사(4학년1학기개설) | |
한국어교육전공 | 한국어음운론, 국어학개론, 한국어문법론, 한국어의미론, 언어학개론, 사회언어학, 한국문학의이해, 한국의전통문화, 한국의현대문화, 한국어발음교육론,한국어문법교육론, 한국어이해교육법, 한국어표현교육법, 한국문화교육론, 한국어교재론, 한국어평가론, 한국어교육실습, 한국어교육개론, 한국어교육과정론 |
학사, 석사, 박사 과정에서 수강한 과목의 학점은 합산되지 않음. 선수 과목은 필수이수학점으로 인정 불가
영역 | 과목 예시 | 대학원의 영역별 필수 이수학점 |
|
---|---|---|---|
합계 | 18학점 | ||
1 | 한국어학 | 국어학개론, 한국어음운론, 한국어문법론, 한국어어휘론, 한국어의미론, 한국어화용론, 한국어사, 한국어어문규범 등 | 3-4학점 |
2 | 일반언어학 및 응용언어학 | 응용언어학, 언어학개론, 대조언어학, 사회언어학, 심리언어학, 외국어습득론, 오류분석 등 | |
3 |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론 | 한국어교육개론, 한국어교육과정론, 한국어평가론, 언어교수이론, 교안작성법,한국어표현교육법(말하기, 쓰기), 한국어이해교육법(듣기, 읽기), 한국어발음교육론, 한국어문법교육론, 한국어어휘교육론, 한국어교재론, 한국문화교육론, 한국어한자교육론, 한국어교육정책론, 한국어번역론 등 *한국어교육특강, 한국어교육세미나 | 9-10학점 |
4 | 한국 문화 | 한국의 현대문화, 한국의 전통문화, 한국전통문화현장실습, 한국현대문화비평,현대한국사회, 한국문학개론, 한국문학의 이해, 한국민속학 등 ※ 과목명에 '한국'이 명시되어야 함. | 2-3학점 |
5 | 한국어 교육 실습 | 강의 참관, 모의 수업, 강의 실습 등 | 2-3학점 |
모형1 | 모형2 | 모형3 |
---|---|---|
강의 참관 | 강의 참관 | 강의 참관 |
모의 수업 | 모의 수업 | 강의 실습 |
강의실습 |
한국어교육전공의 경우 외국 국적자가 학위과정을 통해 한국어교원 2급 또는 3급 자격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한국어능력시험(TOPIK) 6급 성적증명서가 필요하다. (국립국어원 교원자격제도에 근거)
※ 한국어능력시험(TOPIK) 6급 유효기간: 2년 이내기타 본 내규에 규정되지 아니한 사항은 대학원 학칙과 시행세칙에 의거하여 결정한다.